세계는 지금

한류열풍의 이유 ! 한국영화, 드라마 흥행의 비밀.

기차타고시베리아 2021. 10. 23. 14:28
반응형

한류 열풍. 한국 드라마 영화의 초대박 성공


강남대학교 한영 문화콘텐츠학과의 강유정 교수님이라고 계시는데요. 영화나
대중문화에 대해서 평론을 하시는게 참 공감도 가고 좋더라고요..

강유점 교수님이 '다스뵈이다' 라는 유튜브 채널에 나와서 오징어 게임을 비롯한
현재의 한국 드라마 열풍에 대하여 평론을 하셨다고 해서 한번 찾아 봤는데요.
그 내용이 참 공감도 가고 그럴듯한 것 같아서 한번 소개해 보겠습니다.

다스뵈이다 화면 캡쳐

오징어 게임이 세계적인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데요 보통 해외에서 유행을 한다고 하면
우리가 막 자랑스러워하며 오버하는 경우가 많지만 요즘은 오히려 해외에서 난리가
난 상황인 것 같더라고요.. '한국의 문화 침공' ' 전 세계가 한국의 팬이 되다' 이러면서요..

작은 업체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BBC 나 CNN 같은 메이저 업체에서 하고 있는 상황이에요.

CNN 기사 화면 캡쳐

사실 영화가 아닌 드라마가 해외에서 계속 흥행을 하고 있는 것은 정말 대단한 것인데요..
생각해 보면 우리도 프랑스나 영국 드라마가 재밌다고 하더라도 자막으로 그 드라마를 보고
열 광하거나 하지 않잖아요.. ^^

강유정 교수가 바라보는 외신들의 반응은 한마디로 '당황스럽다'라고 보인다고 합니다.

기생충이 상을 받은 과정을 보면 기생충은 서구 엘리트권에 드디어 우리가 화이트 파워의
인정을 받는 과정이었습니다.


칸느라는 서구 영화권의 어머어마한 역사, 'So White'라고 비난을 받던 아카데미에서 상을
받는 과정도 모두 그들이 자신들의 포용성을 강조 가기 위한 자기만족적인 생각으로
우리에게 그저 문을 열어준 상황이었습니다.

한마디로 자신들은 일단 우월하다는 생각 위에 우리에게 '우리는 너희 것도 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자정능력이 있어"라는 것을 보여준 것이었다고 해요..

이때까지만 해도 서구 엘리트 영화나 드라마 평론가들은 한류에 대한 여유가 있었던 것이었습니다.

아카데미 홈페이지 화면 캡쳐

하지만 '오징어 게임'의 경우 엘리트 평론계나 언론이 개입하지 않고 온전히 자본과 대중이
주체가 되어 한류 열풍을 만들어 냈습니다.

뉴욕타임즈나 BBC 가 앞서서 홍보해서 만들어낸 결과물이 아닌 자생적인 인기는 그들로써도
사후적인 분석이 필요한 것이죠. 이렇다 보니 당황하고 있는 것입니다.

요즘 한국 콘텐츠들의 특징


강 교수는 한국의 콘텐츠의 특징을 취향의 문제, 경향의 문제 , 지향의 문제로 말하고 있습니다

취향적 특징

우선 서구와 우리는 좋아하는 것들이 많이 다릅니다. 서구는 개인의 꿈을
많이 영화화하는데요 할리우드 영화도 가족이나 개인의 사랑이나 사회적 성공이 매우 중요한
가치이지요..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사회적 영화'라는 것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그런 것만 그려내서는
대중적 인정을 잘 받아내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사람들에게 인정받는 좋은 영화나 드라마가 되기 위해서는 '사회적 코드'라는 것을 녹여내야
하는 것이었고요 이것이 우리의 취향이 되어 버린 것이었습니다.


사회적 문제를 정면으로 비판하려고 작정하고 만드는 것이 아니라 오징어 게임에서 보듯이
가난의 문제, 경제적 문제를 다루지만 그것을 그냥 개인의 문제로 보지 않고 사회구조적 문제를
끼고 가는 것이고요.. 이것은 기생충도 마찬가지입니다.

경향적 특징


경향의 문제는 바로 반응성의 속도라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사회문제에 대한 반응이
빠르다는 것인데요. 양극화 문제에 대해서 학자들이 한참  연구하고 있는 도중에 우리는
기생충, 버닝, 오징어 게임 같은 드라마로 풀어내고 있는 것입니다.

사회 현상을 스토리텔링으로 빠른 속도로 영화해 해내고 있는 것인데요. 그리고 이것을 대중이
외면하지 않는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화 버닝 포스터

예전에 우리가 스스로 비하했던 '냄비근성' 이라던지 '빨리빨리 문화'가 빠르게 변화하는
요즘 시대에 아주 잘 들어맞고 있는 것이 입니다.

지향적 특징

우리는 개인의 성공도 물론 중요시 여기지만
그만큼 사회가 한걸을 발전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메타 서사'라도 하고 '사회의 집단 서사'라고 하는 것이 있는데요. 각 사회의 밑 바탕에
깔려있는 기본적인 생각들이라고 합니다.

우리의 집단 서사는 어떤 이야기가 있으면 이것이 사회가 벌전 하는 데 있어 어느 정도 연결고리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라고 해요..

다만 서구에서 영화나 드라마가 공익을 중시하고 있으면 상당이 올드하다고 느껴질 텐데요.

요즘 중국이 만들고 있는 교훈적이거나 애국적인 영하가 후지다고 생각되는 것도 이런 맥락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영상물에는 이것이 걸쳐있지만 매우 세련되게 걸쳐 있다는 게 핵심이라고 해요

중국영화 장진호 포스터

한국 드라마, 영화 의 성공 이유.

'아미 오브 더 데드'라는 넷 플릭 영화가 있습니다. 이 영화에서도 돈을 찾으러 가지만 등장하는
캐릭터들이 돈을 찾아가는 이유는 그냥 그 돈 차체 만으로 끝입니다. 돈을 일단 좋은 거니까
그 돈이 그들에게 어떤 의미 인지는 몰라도 되는 거죠..

아미오브더데드 포스터

하지만 오징어 게임에서는 똑같이 456억 원을 찾으러 가는 사람들이 이야기지만 각각의 스토리가 다 다릅니다.

이주 노동자 이야기도 들어있고 탈북자 이야기도 들어있죠..
이렇게 각각의 이야기가 있지만 또 이것이 그들 개인적인 이야기만인 것도 아닌 사회적 이야기가
깔려 있는 것이에요..

그리고 각각의 이야기들을 통해서 누군가 한 명 에게 감정이입이 되고 만다는 것입니다.

오징어게임 화면 캡쳐

취항은 스타일과 결부되고, 경향은 소재와 연관이 있다고 하면 지향은 '결말이 어떻게 다느냐'
하는 것과 연관이 되는 것인데요.

최근 대부분 할리우드 영화를 보면 어떻게든 세상을 구하고, 내 가족은 안전하게 되는 해피앤딩으로 끝나고 있어요.
만약 오징어 게임이 미국에서 영화화 됐다면 제작자에 의해 결말이 수정되거나 제작 자체가
안됬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것이 현실이니까 그냥 열려있는 상태로 영화를 끝내버리고 있는 것이고요.
이것이 기생충부터 버닝, 미나리, 오징어 게임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이야기를 풀어놓은 채로 끝낼 수 있다는 것도 대단한 자신감이라고 하는데요.. 중요한 건
대중이 이걸 좋아한다는 것입니다.


언젠나 해피엔딩을 좋아할 것이라고 믿었던 세계의  대중에게 한국의 적날한 열린 결말이
통한다는 것을 본 서구 언론들은 깜짝 놀라고 있는 것이라고 해요....

이런 내용들로 한국 드라마나 영화가 세계적으로 흥행을 이어가고 있는 모습을 본 서구의
미디어들은 이제 '한국의 콘텐츠들이 세계적인 서사의 중심을 이끌어가고 있구나'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제 이것은 시작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허겁지겁 분석에 나서고 있다고 하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