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예멘 ! 계속되는 내전과 난민 ( 진행중인 국제전 )

기차타고시베리아 2021. 10. 7. 23:45
반응형

예멘의 근대사


19세기 들어서면서 오스만 제국의 힘이 빠지자 영국이 예멘 지역의 일부를 빼앗아 버리는데요
이때 영국이 점령한 지역이 지금의 남예멘 지역입니다.

19세기 영국령

1517년 이후부터 예멘이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던중 1839년 천혜의 무역항인 아덴을
노린 영국이 남예맨 지역을 무력으로 점령해 버린 것이이였는데요..

이후 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오스만의 지배를 받던 북예맨이 독립하면서 예멘의 남북 분단
구조가 만들어졌습니다.

 


북예멘은 오스만 제국에서 한동안 왕국으로 유지되었는데요.. 북예멘은 시아파의 일파인
자이드파가 많았고 이때 북예멘은 이슬람 지도자가 지배하는 사살상의 왕국이었습니다.
그리고 이후 얼마 안 가 아랍 공화주의자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왕국을 무너뜨리고 정권을
차지하게 됩니다.

분단과 통일


이렇게 북예멘이 이슬람 민족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공화국이 되었을때까지 영국령 이였던
남예멘은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영국이 뒤로 물러서면서 독립하게 되었고
이후 소련의 영향으로 공산화가 되었습니다.

이 당시 예맨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한 북예멘과 1967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후
공산주의를 채택한 남예멘으로 분리되었고. 이후 두 나라는 냉전 기간 동안
서로 갈등을 반복했다고 해요.

북예멘은 아랍 민족주의에 기반한 준 자본주의 국가였고 남예멘은 아랍 공산주의 국가이니
냉전기간 동안 서로 갈등을 반복할 수밖에 없었던 거죠..

 


그러다가 소련이 몰락하고 냉전이 끝나자 두나라는 언제 그랬냐는 듯이 1990년
통일에 합의를 하는데요..

냉전이 끝나고 소련과 서방의 지원이 사라지자 당장 먹고살기 힘들어졌고
경제적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일을 통해 발전을 이루려고 했었던 것이었습니다.

알리 압둘라 살레 /출처 연합뉴스

이 통일 예맨의 지도자로 북예멘의 살레가 대통령이 되는데요..
하지만 두나라가 합치는 과정에서 권력의 분배를 둘러싸고 부족간 세력 다툼이 일어나서
내란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이 내전이 수습된 이후에는 결국 2012년까지 살레 대통령이 30년 넘게 독재자로 군림하는데요
예멘의 내부 사정은 이라크 1991년 걸프전이 벌어지면서 한번 크게 상황이 요동치게 됩니다.

KBS 세계는 지금 화면 켑쳐


걸프전 당시 수니파인 사우디가 미국이 이라크를 침공하는데 협력하자 시아파 이슬람 주의자들은
반발하게 되었고 이렇게 이슬람 원리주의 운동이 아랍세계에 번지게 되는데요..

이때 예멘도 수니파와 시아파의 갈등이 시작되고 여기에 시아파 이란이 같은 시아파인
후티 반군을 지원하면서 내전의 기운이 커지게 되었습니다.

예멘 내전의 시작


그리고 2011년 '아랍의 봄'여파가 예멘까지 밀고 온 이후 살레 대통령 독제에 대한 반발로
시위가 확산되면서 결국 살레 대통령은 하야하고 수니파인 하디 대통령이 취임하는 일이 벌이지조..

하디 대통령 사진출처 AP

그리고 권력을 차지한 하디 대통령과 예멘 정부는 군부 내의 살레 세력을 숙청하는데요
이때 예맨 정부군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이후 하디 대통령의 각종 개혁정치는 국민과 여러 부족세력의 반발을 사게 되는데요..
이는 특히 예전 북예멘 자리인 예멘 서북부를 중심으로 예멘 정부에 대해 무력시위를
시작한 후티 반군과 어려 테러세력들이 득세하게 되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해요..

후티 반군 / 출처 연합뉴스

결국 약해진 예멘 정부군과 반군들이 뒤엉켜서 내전이 벌지 지게 되었고
이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예맨 내전의 본격적인 시작입니다.

그리고 예전에 하디 정권에게 쫓겨난 살레 대통령이 후티 반군과 손을 잡고 다시 돌아와서
정부군을 몰아내고 정권을 탈취해 버리는데요.. 이때가 바로 2015년 상황입니다.

사우디의 참전과 국제전 양상


이렇게 수도를 내주고 쫓겨난 하디 대통령은 사우디로 망명해 도움을 요청하는데요..
이때 사우디가 예멘 내전에 개입하게 되고 하디 대통령은 사우디 군과 함께 아덴으로 돌아옵니다.

예멘 주둔 사우디군

후티 반군은 유엔으로부터 정통성을 인정받고 있지 못하는 상황이고 시아파 계열인 자이드여서
같은 시아파인 이란과 시리아의 지원을 받고 있었기 때문에 사우디와 이란 그리고 서방국가들이
예멘 내전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하고 있었던 것이었습니다.

사우디 입장에서는 시아파인 이란, 이라크, 시리아와 더불어 이들의 지원을 받는 후티 반군이
예맨을 차지한다면 자기들은 시아파 국가들에게 둘러싸이게 되는 형국이 되는데요..
이를 그냥 두고 보고 있을 수는 없었던 것이죠..

 


그래서 사우디가 아랍에미레이트 등 주변 여러 수니파 국가들과 함께 예멘 내전에 개입하게 된 것이었습니다

이렇다 보니 후티 반군이 사우디 정유시설에 드론 공격을 자행하는 등 사우디에 대한 공격을
시도하기도 하는 것이구요...

드론공격을 받은 사우디 정유시설

결국 예맨 내전은 아라비아 반도 여러 나라가 참전하고 서방국가들도 개입하는 국제전이되어버렸습니다.
이 와중에 후티 반국에 붙었던 살레 가 사우디와 서방에 붙으려고 하다가 후티 반군에게 살해당하는
일도 생기기도 해요.

안타깝게도 전쟁은 교착상태로 끝나지 않고 계속 이어지면서 예맨은 극도의 혼란에 빠져들었고..
여기다 알카에다 세력들까지 예멘으로 스며들면서 예멘에서는 더 복잡한 내전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KBS 셰계는 지금 화면 캡쳐


이렇게 내전이 복잡해지자 아랍에미레티트가 사우디 군을 두고 예맨에서 철군하기도 합니다.

아무튼 이 내전으로 인구 2600 만의 예멘에서 1500만 명의 난민이 발생하였고
이중 일부가 우리나라 제주에 들어와 뉴스가 되기도 했었습니다.

 


고통받고 있는 예맨의 국민들에서 평화가 찾아오기란 쉽지 않은 상황인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