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이야기/한국사 아는척하기 ( 이땅의 사람들)

고구려 ,백제,일본의 혈연관계. 중앙집권국가의 등장

기차타고시베리아 2022. 2. 2. 14:38
반응형

주몽과 온조


한반도 지역에서 연맹국가로 발전에 성공한 부여와 고구려지요.. 고구려는 부여의 왕자
주몽이 부여에서 도망쳐 나와 세운 나라인데요.. 유명했던 드라마 주몽은 신의 아들이라고
불리던 주몽이 부여에서 나와 고구려를 세우는 과정이었습니다.

주몽,소서노,금와왕,유화부인,대소 /  드라망 주몽 등장인물


부여에서 자란 주몽은 총명하고 활을 잘 쏘아 촉망을 받던 중 대소 등 금와왕의 일곱
아들이 그 재주를 시기하여 죽이려고 하자 화를 피하여 남쪽으로 내려와서 졸본 부여왕의
뒤를 이어 고구려를 건국했습니다.

주몽이 고구려를 세우고 비류와 온조 두 아들을 낳아 지내고 있을 때 고구려에 두고 온
큰 아들 유리가 주몽을 찾아오는데요.. 갑자기 형이 생기고 왕위 계승 순위에서도 밀려난
비류와 온조는 한강유역으로 내려와 각자의 나라를 세우게 됩니다.


삼국사기에 기록된 고구려 설화에는 동명성왕(주몽)이 졸본에 정착하고 아들 비류와 온조를
낳았는데 이후 왕이 북부여에 살 때 예 씨 사이에 태어는 유리가 고구려에 찾아오자
추모 성왕이 반기며 태자로 임명하였고 비류와 온조는 후일이 두려와 남쪽으로 내려가 새로운
땅을 찾아 나서게 되었다라고 되어 있다고 하네요.

온조와 아키히토


이중 지금 인천 미추홀 지역에 나라를 세웠던 비류는 금방 망하고 그의 세력은 온조에게
의탁을 하게 되는데요.. 이 온조의 나라가 나중에 백제로 발전하게 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고 백제가 멸망할 때 당시 당나라에 투항에 관리가 된 뒤 일본의 투항해 일본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던 '예군'이라는 백제 사람의 묘지명에 '일본'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고 하는데요
이를 근거로 '일본'이라는 나라 이름은 사실 백제의 다른 이름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중국사람 기준에서 해가 뜨는 곳에 위치한 나라.. 바로 백제가 중국사람들에게 일본이라고
불리고 있었다는 것이지요.. ( 당시 일본은 스스로도 그렇고 중국도 "왜"라고 불렀습니다)

거기에다 일왕이었던 아키히토는 2001년 자신의 68세 생일에 기자회견을 열러 선대 혈통이
백제 무령왕의 후손이었다고 이례적으로 밝히기도 했는데요..

일본의 역사가들과 평론가들도 사실 한반도의 사람들과 일본인은 혈통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결국 부여에서 시작한 한민족이 이동이 고구려(주몽) - 백제(온조)에 이어 일본까지 이어진
것이 아닐까 생각하니 참 재미있습니다.

중앙집권국가의 등장


부여와 고구려는 5 부족 연맹체로 연맹국가로 발전하는데 성공을 하는데요.. 연맹국가는
아무래도 왕을 선출하고 각 부족장들의 영향력이 커서 왕권은 강하지 못하였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발전을 하다 보니 왕권을 독점할 만큼 강력한 힘을 가진 군장이
등장하여 나머지 군장들을 압도하는 시기가 나타나게 되는데요...

이때 나머지 군장들은 살아남기 위해 강력한 왕이 지내는 지역으로 모여들게 됩니다.
이렇게 왕이 있는 곳으로 권력이 집 중고 중앙집권 국가로발전하게 되는 것이지요..


중앙집권체제를 완성하는 기준으로 보는 것은 왕권이 세습돼야 하고 율령이 반포되야하며
불교를 수용하는 것인데요..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정복활동을 벌이게 되는 것입니다.

선출되는 왕에서 세습되는 왕으로 바뀌었다는 것 자체가 왕권이 강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요.. 많은 부족민들을 통치해야 하는 왕은 제대로 된 법이 필요하게 되니 율령을
반포하게 되은 것이지요..

평양 덕흥리 고분벽화 (고구려 유적)

그리고 지금까지 토착 종교를 믿고 있는 부족민들을 하나의 선진적인 종료로 통합해
관리해야만 했는데요.. 이러한 이유로 동아시아 국가들을 불교를 받아들이게 된다고 해요..

아이러니하게도 부여에서 떨어져 나온 고구려는 이러한 과정을 겪으며 중앙집권 국가로
발전하지만 부여는 중앙집권 국가로 발전 한는데에 실패합니다

그리고 만주와 한 번도 일대에서 중앙집권 국가로 발전하는 나라들이 나타나니 바로
고구려, 백제, 신라가 되겠습니다. (가야도 중앙집권 국가로 발전은 아쉽게도 실패하였습니다.)

반응형